본문 바로가기
  • UNIV_LIFE_BY_HUGWAN

반도체 연구하기31

반도체 단위 공정 vs 반도체 8대 공정 반도체 공정에 대한 블로그를 쓰게 되었습니다!! 오늘의 포스팅은 인터넷에 아주 많이 나오는!!! 반도체 단위 공정과 반도체 8대 공정의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먼저!! 반도체 단위 공정이 있고, 반도체 8대 공정이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인터넷이나 뉴스로 접하는 말은 반도체 8대 공정이에요. 그럼, 반도체 8대 공정이 반도체 단위 공정 각각을 말하는가?.. → 아닙니다! 일단 흔히 우리가 접하는 반도체 8대 공정에 무엇이 있는지 알아볼게요! 1) 웨이퍼 공정 (Wafer) 2) 산화 공정 (Oxidation) 3) 포토리쏘그래피 공정 (Photo Lithography) 4) 식각 공정 (Etching) 5) 박막 증착 공정 (Deposition) 6) 금속 배선 공정 (Metallization.. 2023. 6. 11.
베릴로그 : x(unknown logic value)와 z(high - impedance) 차이 베릴로그 개념을 공부하다 보면 0, 1, x, z를 정말 많이 보게 된다. 학부 수업을 들을 때 x, z에 대해 명확히 알고 있지 않아서 지금 헷갈린다..ㅜ 그래서 정리해 보는 x, z의 차이점! 일단 말 그대로 x는 unknown logic값이고 z는 값이 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x는 0,1 두개의 값 중 하나를 갖긴 하는데 어떤 값인지를 모르는 상태다. either 0 or 1이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z는 0,1 두개의 값을 가지지 않는 상태이다. 보통 tri-state-buffer를 사용할 때 나타난다. neither 0 or 1이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보통 모델심을 사용할 때 x,z가 나오면 빨간색으로 잘못된 경우일 확률이 높다.(일부로 만들지 않고서는...) 그림으로 한번 더 정리하자면, .. 2023. 1. 12.
2023 CES_간단한 내생각 라스베가스에서 열린 2023 CES.. 너무나도 가고싶었지만, 상황이 안 됐기에 많은 유튜브 자료와 인터뷰를 보고 느낀 점을 정리해보려 한다. 스마트 홈, 연동성, AI, 메타버스, wireless LED 등 많은 기술들이 소개됐다. 삼성과 LG는 가전제품들의 연동성을 보여줬다. 냉장고와 전자레인지, 세탁기.. 등등 모든 전자제품이 연결되고 스마트폰과도 연결되어 제어할 수 있는 그런 연동성이다. 전 세계 기업들에서 보인 양상은 AI를 안 쓰는 기업이 없다는 것이다. AI를 사용한다는 의미는 더욱 사용자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메타버스의 열기는 한국에서 확 오르고 식은 듯 보이지만 외국에서는 굉장히 아직 열기가 뜨겁다. 기업들이 개인 맞춤형 서비스에 더 집중하고 있다는 생각.. 2023. 1. 9.